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아름다운 우리말] 무시, 무시하다

무시(無視)한다는 말은 보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달리 말하면 상대를 가치 있게 여기지 않는 겁니다. 우리는 그런 상태를 깔본다고 합니다. 내려다본다는 말도 비슷합니다. 물론 아예 보려고조차 하지 않는 것이니 강도는 훨씬 셉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무시를 ①사물의 존재 의의나 가치를 알아주지 아니함. ②사람을 깔보거나 업신여김이라고 설명합니다. 무시가 안 보는 것이 원래의 뜻이지만 실제로는 내려 보는 느낌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시하다는 말을 한국말로 하면 못 본 척이 아닐까 합니다. 봐도 못 본 척이 더 정확한 표현일 수 있겠습니다. 나를 본 것이 분명한데도 모르는 척하고 지나가면 기분이 상합니다. 인사는 사람의 일이라는 뜻인데, 인사를 안 했다는 것은 사람의 일을 안 한 것이고, 나를 사람 취급 안 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특히 저 사람은 무시해도 좋다는 말을 들으면 참을 수가 없을 겁니다. 저를 없는 사람 취급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요즘 방식으로 말하자면 투명 인간 취급한 겁니다.     무시하다에 해당하는 우리말인 ‘업신여기다’는 방언에 ‘업시여기다’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이 말은 ‘없이 여기다’로 볼 수 있습니다. 무시하다라는 말에 딱 들어맞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분명히 있는데도 없는 것처럼 생각하니 그렇습니다. 본 척도 안 하고, 들은 척도 안 하고, 아는 척도 안 하는 것은 모두 무시하는 겁니다. 무시하는 게 안 좋은 거죠.   그런데 무시해도 좋은 게 있습니다. 보고도 못 본 척해야 할 때가 있다는 말입니다. 어떤 것을 무시하면 좋을까요? 우선 상대가 숨기고 싶은 것이라면 못 본 척해주는 게 좋을 겁니다. 혹시라도 봤다면 아예 잊으면 더 좋을 겁니다. 굳이 아는 척해서 상대에게 상처를 줄 필요는 없을 겁니다. 내가 본 것을 상대가 알아차린다면 제대로 보지 못했다고 거짓말을 하여도 좋습니다. 모르는 척도 배려입니다.     저는 무시의 상반되는 상황을 보면서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를 배웁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보다’에 해당하는 우리말 표현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앞에서 이야기한 깔보다와내려다보다도 있습니다만, 반대로 올려보다나치켜뜨다도 있습니다. 반항의 의미로 사용되는 표현이기도 합니다. 화가 났을 때는 노려보다, 째려보다라는 말도 있습니다. 보는 게 감정을 싣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보는 것 중에서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은 살펴보다와돌보다입니다. 살피는 것도 보는 것이기에 살펴보는 것은 같은 의미의 단어가 겹쳐진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강조의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살피는 것과 두리번거리는 것은 다르다고 봅니다. 무엇을 찾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만, 살펴보는 것은 혹시 불편한 점이 있는지 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돌보다는 돌아보다가 줄어든 말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어느 말이 먼저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저는 돌보다라는 말은 보이지 않는 곳까지 찾아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을을 돌아보거나 건물을 돌아보는 것도 보이지 않는 곳까지 살피는 것입니다. 따라서 돌본다는 말에서는 세밀한 관심이 느껴집니다. 아이를 돌보는 것은 그런 느낌의 표현입니다.   무시하지 않는 삶을 꿈꿉니다. 하지만 그가 원하지 않는다면 굳이 보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화가 나서 쳐다보는 것이 아니라, 따뜻하게 살피고 보이지 않는 곳까지 돌보는 삶이기 바랍니다. 어떻게 보는지에 따라 세상은 달라집니다. 내 눈의 온도를 생각해 보세요.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무시 우리말 표현 사람 취급 존재 의의

2024-10-27

[아름다운 우리말] 참성이라는 말

오늘도 여러 책을 읽으며 진리를 공부하다가 ‘참성(僭聖)’이라는 표현에서 한참을 머물러 있었습니다. 사전에는 나오지 않는 말이었습니다. 사전에 없는 말이 참 많다는 생각을 새삼 합니다. 참성의 참(僭)은 어긋난다는 뜻으로 ‘참람(僭濫)하다, 참칭(僭稱)하다’라고 할 때 쓰입니다. 참람하다는 말은 분수에 넘쳐 지나치다는 의미입니다. 참칭이라는 말은 멋대로 분수 넘치게 스스로를 무엇이라고 칭한다는 의미입니다. 사전의 예에는 왕을 참칭하다는 표현이 등장합니다. 스스로를 대단하다고 착각할 때 쓰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성은 한마디로 말하자면 스스로를 성인이라고 여긴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성인이 아닌데도 말입니다. 책에서 참성은 깨달음의 적이고, 깨달은 이의 적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것도 깨달은 이의 세 강적 중에서 가장 나쁜 강적이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성인인 척하는 것이 깨달은 이를 모욕하고, 신체에 위해를 가하는 것보다도 더 나쁜 적인 셈입니다.     척하는 것 중에서 가장 나쁜 것이 깨달은 척이라는 말이 생각납니다. 우리의 삶은 수많은 척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없으면서 있는 척하고, 모르면서 아는 척합니다. 잘난 척, 예쁜 척 등도 있습니다. 갑자기 ‘귀여운 척’이라는 표현이 생각나네요. 척 중에는 위험한 게 많습니다만, 그중 최악은 깨달은 척, 성인인 척하는 사람입니다. 사람들을 나쁜 쪽으로 이끌고, 참된 사람을 욕합니다.   참성하는 이와 진짜 성인의 차이는 무얼까요? 일단 대부분의 성인은 스스로를 성인이 아니라고 이야기합니다. 공자도 맹자도 성인이냐는 물음에 손사래를 쳤습니다. 성인이어도 스스로를 성인이라고 하기에는 두려움이 있었을 겁니다. 저는 성인은 겸손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겸손하게 진리의 길을 가고, 진리의 편이 되는 이가 성인인 겁니다.     참성하는 이는 정반대의 삶을 삽니다. 참성하는 사람을 설명해 놓은 것을 보고, 저도 반성의 시간을 갖게 되었습니다. 참성하는 이는 스스로가 깨달았다고 착각하며, 다른 이를 무시(無視)하고 업신여깁니다. 무시한다는 말은 그야말로 눈에 뵈는 게 없다는 뜻입니다. 진리의 길에 서 있다면 더 낮은 곳, 더 아픈 곳을 바라보아야 하고, 찾아야 합니다. 저는 업신여긴다는 말은 ‘없이 여기다’라는 말과 관련이 있다고 봅니다. 즉 없는 사람 취급을 하는 겁니다. 당연히 저 잘난 맛으로 사는 사람인 겁니다. 스스로를 귀하게 여기는 사람은 남도 귀하게 여기는 사람입니다. 모든 이를 귀하게 여겨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 가짜입니다.   참성하는 사람이 나아가는 방향은 아프고 낮은 곳이 아닙니다. 오히려 화려하고 높은 곳입니다. 권력에 집착하고, 명예에 집착하고, 돈에 집착합니다. 권력자와 가깝고, 돈 있는 자와 가깝습니다. 무슨 무슨 자리에 연연합니다. 권력자와 가까운 것이 자랑이고, 권력마저 가지려고 노력합니다. 돈 있는 자와 가까운 것이 기쁨이고, 더 많이 소유하려고 합니다. 명예를 소중히 여긴다고 하지만, 들여다보면 직위를 탐내는 것입니다. 명예는 희생에서 오는 겁니다. 희생이 빠진 명예는 그저 자리에 대한 집착일 뿐입니다.     참성이 진리를 방해하는 강적이라는 말이 진리를 공부하고 생각하는 동안 더 다가옵니다. 왜 가장 나쁜 강적으로 표현하였는지 알겠습니다. 참성이라는 단어를 살펴보면서 내가 나아가는 방향을 돌아봅니다. 돈이 좋고, 힘이 좋고, 자리가 좋고, 그런 사람들과 아는 게 기쁜 삶이네요. 그러고 보면 참성은 멀리에 있는 게 아닙니다. 스스로 그런 사람임을 모르고, 그런 스스로를 자랑스러워하고 있다면 참성의 삶을 살고 있는 겁니다. 나 스스로가 진리를 방해하고 있는 사람임을 뼈아프게 느낍니다. 참성이 아닌 척 살고 있었습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진짜 성인 사람 취급

2024-04-21

[아름다운 우리말] 얕보지 말고 속을 깊이 보라

사람을 보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우리말에는 사람을 보는 방법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서로를 사랑스레 보고, 그윽하게 보는 것 역시 보는 방법이겠으나 주로는 강하게 보는 느낌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는 노려보는 게 있습니다. 겁을 주기 위해서 화가 났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옆으로 보면 주로 째려본다고 합니다. 눈을 옆으로 째고 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눈을 치뜨고 보기도 합니다. 주로 작은 사람이나 힘없는 사람이 보는 방식이기도 합니다. 올려보는 것과는 전혀 다른 접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올려본다는 말에는 부러움이나 존경이 담기기도 합니다. 구체적으로 보는 것에 추상적인 의미를 더한 것입니다.     아래로 내려다보는 것에는 반대의 의미가 담깁니다. 주로는 천시(賤視)의 느낌이 됩니다. 이럴 때 쓰는 표현이 바로 ‘얕보다’입니다. 얕보다는 말은 얕게 보는 것입니다. 그 사람의 깊을 생각하지 않고 단순하게 생각하여 얕다고 보는 것입니다. 아예 밑바닥까지 내려놓고 보기도 합니다. 이 경우는 ‘깔보다’라는 표현을 씁니다. 깔보는 것은 내가 눈을 아래로 깔고 보는 겁니다. 상대를 저 아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생각만 해도 기분 나쁜 일입니다.   비슷한 말로는 낮보다가 있습니다. 이는 낮추보다의 줄임말입니다. 상대를 낮추어 보는 것입니다. 이때 주로 하는 행위가 바로 ‘깎아내리다’ 입니다. 상대를 있는 그대로가 아닌 깎아서 더 작게 만드는 것입니다. 아래로 본다는 표현도 이때 쓰는 말입니다. 눈을 내리깔고 상대를 보는 것이니 어른이나 윗사람의 행동입니다. 이런 행동 앞에서 아랫사람은 눈을 치뜨게 되는 겁니다. 반항의 마음이 절로 생깁니다. 올려다볼 마음이 생기지 않는 겁니다.   남을 깊게 보지 않고 얕보는 행위를 한자에서는 ‘멸시(蔑視)’라고 합니다. 업신여기는 행위라고 해석됩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이 업신여기다는 어원을 ‘없이 여기다’로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없이 여긴다는 말은 있는 사람 취급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니 투명인간 취급했다는 요즘 표현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따돌림의 현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악한 행동입니다. 가장 사람의 자존감을 무너뜨립니다. 멸시의 다른 말은 그래서 무시(無視)입니다. 무시라는 말 역시 보지 않는 것이니 못 본 체하는 것입니다. 보이지만 마치 보이지 않는 사람 취급하는 것이 무시하는 겁니다.   저는 보는 게 참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는 말은 그런 뜻입니다. 보는 게 중요한데 어떻게 보는가가 더 중요합니다. 아무렇게나 보면 안 됩니다. 보고도 없는 사람 취급해서는 더욱 안 됩니다. 사람을 있는 그대로 보고, 그 속을 깊이 들여다보면 그 사람의 깊이를 이해하게 됩니다. 그럼 저절로 존경심이 생겨납니다. 누구나 사람은 그 속에 역사를 담고 있습니다.     그렇게 보는 것은 영어에서는 인터뷰(interview)라고 합니다. 그래서 인터뷰하는 장면을 보면 모든 이에게 존경심이 생기게 됩니다. 인터뷰를 통해서 단점도 발견하지만 장점도 보게 됩니다. 가벼운 겉모습도 보게 되지만 깊은 어둠도 보게 됩니다. 사람을 만나는 것은 그 사람의 깊은 속을 만나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 서로 인터뷰하는 삶이었으면 합니다.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표현을 부정적인 장면이 아니라 이해와 용서의 장면에서 쓰기 바랍니다.   한편 우리말에는 보는 것에 묘한 표현을 덧붙여 놓았습니다. 그것은 바로 ‘여기다’입니다. 여기는 것은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보는 것에 생각을 담은 겁니다. 생각하면서 보면 달리 보입니다. 그것을 우리말에서는 ‘눈여겨보다’라고 합니다. 사람도 자연도 눈여겨보면 달리 보입니다. 새롭게 보입니다. 귀하게 보입니다. 서로 눈여겨보고, 얕보지 말고 깊이 보는 삶이 되기 바랍니다. 서로가 서로에게 귀한 사람이 될 겁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요즘 표현 사람 취급

2023-09-2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